감각의 지평을 확장하는
Evolution of Maximalism
올 하반기 글로벌 라이프스타일 시장에 새로운 화두를 던진 MAISON & OBJET의 키워드를 통해 변화의 한축을 형성하는 Maximalism의 진가를 전하며 유쾌한 아이디어로 무장한 다채로운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취재 김민자
SNS를 기반에 둔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은 강한 호소력을 지닌 한 장의 이미지로 사람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이를 반영하듯 인테리어 트렌드에서도 이미지의 극적 연출을 돕는 과장된 컬러와 형태, 내러티브가 살아있는 공간이 인기를 끄는 가운데 다가오는 F/W 시즌 파리 MAISON & OBJET에서 인스퍼레이션 키워드로 ‘House of Games’ 를 선정해 그 영향력을 공고히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갖가지 기호와 형태, 색, 그리고 이야기를 버무린 디자인을 테마로 내세워 삶을 향한 유희적인 태도를 명확히 하며 사람들에게 즐거운 에너지를 전한다. 특히 원색적인 색상과 화려한 장식, 풍성한 볼륨감이 주를 이루는 맥시멀리즘으로 회귀하는 흐름에 주목해 볼 만한데, 단순하고 간결한 형태를 지향하는 미니멀리즘과 또렷한 대비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인간의 원초적인 즐거움을 가져다주는 놀이의 개념을 활용한 모티브를 접목해 오감을 자극하는 감각적인 디자인은 맥시멀리즘 특유의 개성을 배가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번 기사에서는 영화 캐릭터, 장난감 등 유머러스한 모티브와 형형색색의 디자인을 가미해 유쾌한 공간을 선사하는 프로젝트를 살피며 무미건조한 일상에 활력을 주는 맥시멀리즘의 매력을 느껴보자.
Star Wars Home
Architect / White Interior Design
Design Team / Chih Lung Lin
Location / Taipei, Taiwan
Area / 132㎡
Photography / HighliteImages
“모든 사람은 한 때 아이였다” 고 말할 만큼 따뜻한 시선을 지닌 디자이너는 클라이언트가 꿈꾸는 이상적인 공간을 실현하고자 영화 시리즈 의 캐릭터를 모티브로 한 주거 공간 Star Wars Home을 완성했다.
열린 구조로 계획된 내부는 거주자의 생활습관을 고려해 동선을 구성하고 시각적 효과를 배 가시키는 직선이 다이내믹한 흐름을 나타낸다. 또한, 거실을 중심으로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두 개의 침실과 주방, 서재를 배치했으며, 수납공간을 벽체에 매입하고 깔끔한 선으로 도어를 디자인해 공간활용도를 높였다. 아울러 무채색 계열의 차분한 베이스 컬러로 활용해 네온 컬러와 비비드한 컬러를 빈번하게 사용한 가구와 조명, 패브릭이 자연스럽게 공간에 어우러질 수 있도록 했다.
한눈에 바라보이는 거실과 다이닝 공간은 바닥의 패턴을 통해 일정한 공간감을 형성한다. 다이닝 테이블은 스타워즈 제국군의 비행선 TIE Fighter의 구조를 본 따 특유의 패턴을 나타내는데, Darth Maul의 양날 광선검을 펜던트 조명으로 디자인하고 레드 컬러를 더해 영화 속 분위기를 재현한다. 이어지는 거실은 옐로 컬러의 소파를 두고 바닥의 헤링본 패턴을 잇는 포인트 월을 연출한 가운데 스타워즈를 상징하는 광선검을 데커레이션 아이템으로 활용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거실의 한쪽 벽면을 차지하는 화이트 컬러의 캐비닛은 Darth Vader의 모습을 형상화한 불규칙적인 직선으로 미니멀한 스타일을 나타낸다.
The Wave Co-working
Design / Spatial Concept
Design Team / Gary Lai, Vic Lau, Lennox Leung
Location / Kwun Tong Kowloon, Hong Kong
Area / 3,000㎡
Photographer / Scott Brooks
홍콩 Kwun Tong 내 오래된 건물에 새로이 둥지를 튼 The Wave Co-working은 총 3개 층에 걸쳐 스타트업과 IT 전문가들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에 기본적인 사무공간부터 카페, 워크숍, 이벤트 공간 등 그들의 네트워크 활동과 협력을 지원하는 다양한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먼저, 메인 리셉션이 위치한 10층의 Greet 구역은 입구에 회사의 로고 대신 ‘A SIMPLE HELLO COULD LEAD TO A MILLION THINGS’ 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이용자 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이끄는 친근한 분위기를 형성한다. 뿐만 아니라 리셉션 가까이 자리한 Chill 구역은 높낮이가 다른 블록형 소파를 두고, 그네와 축구게임 장비를 구성해 방문객을 위한 대기실이자 잠깐의 휴식을 즐기는 놀이공간을 완성했다. 아울러 창문을 따라 업무공간을 배치해 자연히 따뜻한 햇살을 들이며, 만남의 장소가 되는 테마 공간을 곳곳에 두어 음악, 브레인스토밍, 명상, 복싱 등 새로운 경험을 제안하고, 사용자의 교류를 유도한다. 각각의 공간은 과장된 소품과 유머러스한 그래픽, 생기 넘치는 컬러를 통해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는데, 테마 공간의 특성에 따라 서로 상이한 디자인 콘셉트를 선정해 코워킹 스페이스 특유의 자유분방한 에너지를 느낄 수 있다 .
한편, 각 층마다 위치한 펜트리 공간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테이블을 중심으로 간단하게 식사와 음료를 즐길 수 있도록 디자인했으며, 9층에 마련된 카페에서는 가죽 소파와 빈티지 체어, 러그를 매치해 안락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이렇듯 The Wave Co-working은 새로운 아이디어의 플랫폼으로써, 생각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열린 디자인을 통해 또 다른 출발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보다 나은 가능성을 제안한다.
THE LEGO PLAY POND
Interior Design / HAO Design
Location / Kaohsiung City, Taiwan
Area / 122㎡
Photography / Hey!Cheese
매 프로젝트마다 기발한 아이디어로 무장한 디자인이 돋보이는 HAO Design이 지난 2015년 선보인 THE LEGO PLAY POND는 어린 시절, 한 번쯤 꿈꾸던 상상의 세계를 재현하듯 레고가 지닌 다채로운 컬러와 단순한 구조를 활용해 유쾌한 분위기를 강조한다. 이에 약 122㎡ 규모의 안락한 공간은 클라이언트의 독특한 유머 감각을 여실히 드러내며, 여유로운 휴양지의 풍경을 떠올리게 하는 서핑보드, 수영장, 아웃도어 가구 등을 찾아볼 수 있다.
먼저 입구에 들어서면, 아쿠아마린 컬러의 타일로 현관 바닥을 마감하고 이어진 벽체를 레 고보드로 장식했는데, 수영장 스타일의 핸드레일을 디자인 오브제로 설치해 내부 공간에 대한 기대감을 고조시킨다. 비비드한 컬러의 향연을 이룬 거실과 주방은 오픈 플랜 구조로, 벽체의 베이스 컬러로 사용된 콘크리트 소재의 그레이 컬러는 오렌지 컬러를 내세운 주방과 인디고 컬러의 거실 소파가 빚은 강한 색채 대비를 완화해준다. 또한 바닥의 단차를 이용해 높이에 따른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고 가족구성원 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이끄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했다.
공간 곳곳에 디자인 포인트가 되는 레고는 특유의 패턴과 구조를 재해석해 레고를 층층이 쌓은 주방의 테이블 다리부터 거실로 올라서는 계단부와 하단 수납장의 도어에 레고의 모듈을 채택해 통통 튀는 매력을 전한다. 특히 거실 바닥을 장식하는 원형의 모티브는 소파, 수납장 도어 등에 접목해 수영장 혹은 볼풀의 형상을 상기시킨다. 이중 바닥면 하부의 여유 공간을 활용한 수납장은 와인저장고로 사용되거나 장난감을 정리하는 용도로 디자인했는데, 유리 소재의 도어를 설치해 반사된 빛에 의해 일렁이는 표면에서 작은 연못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
한편 야외테라스에는 아기자기한 아웃도어 가구와 원색의 패턴을 살린 패브릭을 더해 프로젝트만의 재기발랄한 콘셉트를 이어간다. 이밖에도, 화이트 컬러를 바탕에 둔 침실의 경우, 재미있는 에너지를 발산하는 블루와 그린, 옐로 톤의 컬러를 믹스 앤 매치해 눈길을 끈다.
이처럼 THE LEGO PLAY POND는 공용 공간부터 개인 침실에 이르기까지 레고에 착안한 디자인을 통해 다양한 시각적 효과는 물론, 가족과 함께하는 평온한 휴식을 제안한다.
Mad Giant Beer
Interior Design / Haldane Martin iconic design
Furniture Custom Design / Haldane Martin iconic design
Murals by Graffiti Artist / Nomad
Location / 1 Fox Precinct, Ferreirasdorp, Johannesburg, South Africa
Area / 1,100㎡
Photography / Micky Hoyle
남아프리카 공화국 Johannesburg의 중심가에 문을 연 Mad Giant Beer와 레스토랑 Urbanologi는 화학공학자 Eben Uys가 개발한 Mad Giant 생맥주를 맛볼 수 있는 맥주 양조장을 갖추고 있다. 인테리어와 가구 디자인을 맡은 Haldane Martin iconic design은 용기 있는 한 남자의 큰 꿈과 그 꿈을 저지를 수 있는 에너지를 대변하는 Mad Giant의 브랜드 정신을 녹여내는 것은 물론,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맥주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브랜드의 마스코트인 거대한 설인을 활용해 라벨, 사이니지 등 그래픽 디자인 요소로 활용했을 뿐 아니라 시선을 사로잡는 조형물을 공간에 설치해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한다.
직사각 형태의 평면을 띤 내부는 입구에서부터 손님을 맞이하는 레스토랑과 안쪽에 자리한 양조장으로 나뉘는데, 다양한 좌석 구성을 통해 가족과 친구, 혼자 온 사람까지 포용하는 캐주얼한 분위기를 형성한다. 또한, 80년의 역사를 간직한 창고를 리노베이션하는 과정에서 차분한 그레이 컬러의 콘크리트 소재와 어우러지는 붉은 빛의 트러스트 구조를 그대로 두고, 이에 대응하는 바닥을 헤링본 패턴으로 디자인해 인더스트리얼 무드를 한껏 고조시킨다.
입구에 들어서면, 지름 6m에 달하는 면적을 차지하는 중앙의 메인 바가 콘크리트 소재를 사용해 묵직한 무게감을 전달하는데, 메인 바를 든든하게 받쳐주는 거대한 설인의 형상은7m 높이로 천장에 닿을 듯 존재감을 과시하며 철제 특유의 미끈한 질감을 자랑한다. 가 구와 조명 모두를 직접 디자인한 Haldane Martin은 조립용 장난감 키트인 Meccano에 착안한 모듈을 활용해 레스토랑에 꼭 맞는 디자인을 완성했다. 이에 볼트와 너트를 조립하는 단순한 구조를 조합해 테이블과 벤치, 샹들리에, 펜던트 조명을 제작하고, 디자이너의 아이코닉한 스타일을 엿볼 수 있는 Songololo Sofa를 모티브로 한 디자인을 선보였다.
COPYRIGHT 2016. INTERNI&Decor ALL RIGHTS RESERVED.
[인테르니앤데코 - www.internidecor.com 저작권법에 의거, 모든 콘텐츠의 무단전재,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감각의 지평을 확장하는
Evolution of Maximalism
올 하반기 글로벌 라이프스타일 시장에 새로운 화두를 던진 MAISON & OBJET의 키워드를 통해 변화의 한축을 형성하는 Maximalism의 진가를 전하며 유쾌한 아이디어로 무장한 다채로운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취재 김민자
SNS를 기반에 둔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은 강한 호소력을 지닌 한 장의 이미지로 사람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이를 반영하듯 인테리어 트렌드에서도 이미지의 극적 연출을 돕는 과장된 컬러와 형태, 내러티브가 살아있는 공간이 인기를 끄는 가운데 다가오는 F/W 시즌 파리 MAISON & OBJET에서 인스퍼레이션 키워드로 ‘House of Games’ 를 선정해 그 영향력을 공고히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갖가지 기호와 형태, 색, 그리고 이야기를 버무린 디자인을 테마로 내세워 삶을 향한 유희적인 태도를 명확히 하며 사람들에게 즐거운 에너지를 전한다. 특히 원색적인 색상과 화려한 장식, 풍성한 볼륨감이 주를 이루는 맥시멀리즘으로 회귀하는 흐름에 주목해 볼 만한데, 단순하고 간결한 형태를 지향하는 미니멀리즘과 또렷한 대비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인간의 원초적인 즐거움을 가져다주는 놀이의 개념을 활용한 모티브를 접목해 오감을 자극하는 감각적인 디자인은 맥시멀리즘 특유의 개성을 배가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번 기사에서는 영화 캐릭터, 장난감 등 유머러스한 모티브와 형형색색의 디자인을 가미해 유쾌한 공간을 선사하는 프로젝트를 살피며 무미건조한 일상에 활력을 주는 맥시멀리즘의 매력을 느껴보자.
Star Wars Home
Architect / White Interior Design
Design Team / Chih Lung Lin
Location / Taipei, Taiwan
Area / 132㎡
Photography / HighliteImages
“모든 사람은 한 때 아이였다” 고 말할 만큼 따뜻한 시선을 지닌 디자이너는 클라이언트가 꿈꾸는 이상적인 공간을 실현하고자 영화 시리즈 의 캐릭터를 모티브로 한 주거 공간 Star Wars Home을 완성했다.
열린 구조로 계획된 내부는 거주자의 생활습관을 고려해 동선을 구성하고 시각적 효과를 배 가시키는 직선이 다이내믹한 흐름을 나타낸다. 또한, 거실을 중심으로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두 개의 침실과 주방, 서재를 배치했으며, 수납공간을 벽체에 매입하고 깔끔한 선으로 도어를 디자인해 공간활용도를 높였다. 아울러 무채색 계열의 차분한 베이스 컬러로 활용해 네온 컬러와 비비드한 컬러를 빈번하게 사용한 가구와 조명, 패브릭이 자연스럽게 공간에 어우러질 수 있도록 했다.
한눈에 바라보이는 거실과 다이닝 공간은 바닥의 패턴을 통해 일정한 공간감을 형성한다. 다이닝 테이블은 스타워즈 제국군의 비행선 TIE Fighter의 구조를 본 따 특유의 패턴을 나타내는데, Darth Maul의 양날 광선검을 펜던트 조명으로 디자인하고 레드 컬러를 더해 영화 속 분위기를 재현한다. 이어지는 거실은 옐로 컬러의 소파를 두고 바닥의 헤링본 패턴을 잇는 포인트 월을 연출한 가운데 스타워즈를 상징하는 광선검을 데커레이션 아이템으로 활용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거실의 한쪽 벽면을 차지하는 화이트 컬러의 캐비닛은 Darth Vader의 모습을 형상화한 불규칙적인 직선으로 미니멀한 스타일을 나타낸다.
The Wave Co-working
Design / Spatial Concept
Design Team / Gary Lai, Vic Lau, Lennox Leung
Location / Kwun Tong Kowloon, Hong Kong
Area / 3,000㎡
Photographer / Scott Brooks
홍콩 Kwun Tong 내 오래된 건물에 새로이 둥지를 튼 The Wave Co-working은 총 3개 층에 걸쳐 스타트업과 IT 전문가들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에 기본적인 사무공간부터 카페, 워크숍, 이벤트 공간 등 그들의 네트워크 활동과 협력을 지원하는 다양한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먼저, 메인 리셉션이 위치한 10층의 Greet 구역은 입구에 회사의 로고 대신 ‘A SIMPLE HELLO COULD LEAD TO A MILLION THINGS’ 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이용자 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이끄는 친근한 분위기를 형성한다. 뿐만 아니라 리셉션 가까이 자리한 Chill 구역은 높낮이가 다른 블록형 소파를 두고, 그네와 축구게임 장비를 구성해 방문객을 위한 대기실이자 잠깐의 휴식을 즐기는 놀이공간을 완성했다. 아울러 창문을 따라 업무공간을 배치해 자연히 따뜻한 햇살을 들이며, 만남의 장소가 되는 테마 공간을 곳곳에 두어 음악, 브레인스토밍, 명상, 복싱 등 새로운 경험을 제안하고, 사용자의 교류를 유도한다. 각각의 공간은 과장된 소품과 유머러스한 그래픽, 생기 넘치는 컬러를 통해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는데, 테마 공간의 특성에 따라 서로 상이한 디자인 콘셉트를 선정해 코워킹 스페이스 특유의 자유분방한 에너지를 느낄 수 있다 .
한편, 각 층마다 위치한 펜트리 공간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테이블을 중심으로 간단하게 식사와 음료를 즐길 수 있도록 디자인했으며, 9층에 마련된 카페에서는 가죽 소파와 빈티지 체어, 러그를 매치해 안락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이렇듯 The Wave Co-working은 새로운 아이디어의 플랫폼으로써, 생각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열린 디자인을 통해 또 다른 출발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보다 나은 가능성을 제안한다.
THE LEGO PLAY POND
Interior Design / HAO Design
Location / Kaohsiung City, Taiwan
Area / 122㎡
Photography / Hey!Cheese
매 프로젝트마다 기발한 아이디어로 무장한 디자인이 돋보이는 HAO Design이 지난 2015년 선보인 THE LEGO PLAY POND는 어린 시절, 한 번쯤 꿈꾸던 상상의 세계를 재현하듯 레고가 지닌 다채로운 컬러와 단순한 구조를 활용해 유쾌한 분위기를 강조한다. 이에 약 122㎡ 규모의 안락한 공간은 클라이언트의 독특한 유머 감각을 여실히 드러내며, 여유로운 휴양지의 풍경을 떠올리게 하는 서핑보드, 수영장, 아웃도어 가구 등을 찾아볼 수 있다.
먼저 입구에 들어서면, 아쿠아마린 컬러의 타일로 현관 바닥을 마감하고 이어진 벽체를 레 고보드로 장식했는데, 수영장 스타일의 핸드레일을 디자인 오브제로 설치해 내부 공간에 대한 기대감을 고조시킨다. 비비드한 컬러의 향연을 이룬 거실과 주방은 오픈 플랜 구조로, 벽체의 베이스 컬러로 사용된 콘크리트 소재의 그레이 컬러는 오렌지 컬러를 내세운 주방과 인디고 컬러의 거실 소파가 빚은 강한 색채 대비를 완화해준다. 또한 바닥의 단차를 이용해 높이에 따른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고 가족구성원 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이끄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했다.
공간 곳곳에 디자인 포인트가 되는 레고는 특유의 패턴과 구조를 재해석해 레고를 층층이 쌓은 주방의 테이블 다리부터 거실로 올라서는 계단부와 하단 수납장의 도어에 레고의 모듈을 채택해 통통 튀는 매력을 전한다. 특히 거실 바닥을 장식하는 원형의 모티브는 소파, 수납장 도어 등에 접목해 수영장 혹은 볼풀의 형상을 상기시킨다. 이중 바닥면 하부의 여유 공간을 활용한 수납장은 와인저장고로 사용되거나 장난감을 정리하는 용도로 디자인했는데, 유리 소재의 도어를 설치해 반사된 빛에 의해 일렁이는 표면에서 작은 연못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
한편 야외테라스에는 아기자기한 아웃도어 가구와 원색의 패턴을 살린 패브릭을 더해 프로젝트만의 재기발랄한 콘셉트를 이어간다. 이밖에도, 화이트 컬러를 바탕에 둔 침실의 경우, 재미있는 에너지를 발산하는 블루와 그린, 옐로 톤의 컬러를 믹스 앤 매치해 눈길을 끈다.
이처럼 THE LEGO PLAY POND는 공용 공간부터 개인 침실에 이르기까지 레고에 착안한 디자인을 통해 다양한 시각적 효과는 물론, 가족과 함께하는 평온한 휴식을 제안한다.
Mad Giant Beer
Interior Design / Haldane Martin iconic design
Furniture Custom Design / Haldane Martin iconic design
Murals by Graffiti Artist / Nomad
Location / 1 Fox Precinct, Ferreirasdorp, Johannesburg, South Africa
Area / 1,100㎡
Photography / Micky Hoyle
남아프리카 공화국 Johannesburg의 중심가에 문을 연 Mad Giant Beer와 레스토랑 Urbanologi는 화학공학자 Eben Uys가 개발한 Mad Giant 생맥주를 맛볼 수 있는 맥주 양조장을 갖추고 있다. 인테리어와 가구 디자인을 맡은 Haldane Martin iconic design은 용기 있는 한 남자의 큰 꿈과 그 꿈을 저지를 수 있는 에너지를 대변하는 Mad Giant의 브랜드 정신을 녹여내는 것은 물론,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맥주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브랜드의 마스코트인 거대한 설인을 활용해 라벨, 사이니지 등 그래픽 디자인 요소로 활용했을 뿐 아니라 시선을 사로잡는 조형물을 공간에 설치해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한다.
직사각 형태의 평면을 띤 내부는 입구에서부터 손님을 맞이하는 레스토랑과 안쪽에 자리한 양조장으로 나뉘는데, 다양한 좌석 구성을 통해 가족과 친구, 혼자 온 사람까지 포용하는 캐주얼한 분위기를 형성한다. 또한, 80년의 역사를 간직한 창고를 리노베이션하는 과정에서 차분한 그레이 컬러의 콘크리트 소재와 어우러지는 붉은 빛의 트러스트 구조를 그대로 두고, 이에 대응하는 바닥을 헤링본 패턴으로 디자인해 인더스트리얼 무드를 한껏 고조시킨다.
입구에 들어서면, 지름 6m에 달하는 면적을 차지하는 중앙의 메인 바가 콘크리트 소재를 사용해 묵직한 무게감을 전달하는데, 메인 바를 든든하게 받쳐주는 거대한 설인의 형상은7m 높이로 천장에 닿을 듯 존재감을 과시하며 철제 특유의 미끈한 질감을 자랑한다. 가 구와 조명 모두를 직접 디자인한 Haldane Martin은 조립용 장난감 키트인 Meccano에 착안한 모듈을 활용해 레스토랑에 꼭 맞는 디자인을 완성했다. 이에 볼트와 너트를 조립하는 단순한 구조를 조합해 테이블과 벤치, 샹들리에, 펜던트 조명을 제작하고, 디자이너의 아이코닉한 스타일을 엿볼 수 있는 Songololo Sofa를 모티브로 한 디자인을 선보였다.
COPYRIGHT 2016. INTERNI&Decor ALL RIGHTS RESERVED.
[인테르니앤데코 - www.internidecor.com 저작권법에 의거, 모든 콘텐츠의 무단전재,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